“직원들이 연장 근무를 하면 연장 수당이 아니라 휴가를 주려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?”
기업은 근무 수당 비용을 대신할 수 있고, 근무자는 휴가를 얻을 수 있는 제도, 보상 휴가! 비즈52에서는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?
보상휴가란?
근로기준법 57조에 명시되어 있는 연장근무·야간근무 및 휴일근무 등에 임금을 지급하는 것 대신 휴가를 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이곳에는 다음 내용의 가이드가 있습니다! 제목을 누르시면 해당 부분으로 바로 이동합니다.
기본 설명
Biz52만의 보상휴가 핵심 기능 요약!
1.
자동으로 계산되는 추가수당 총시간!
2.
본인의 연장근무시간을 보상휴가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보상휴가 자가 전환
3.
보상휴가로 전환하지 않는 시간들을 수당으로 지급하는 걸 확정하고 싶다면? 수당으로 지급
추가수당 총시간이란?
(연장근무시간x100%)+(가산수당 대상 연장근무+야간근무+휴일근무)x50% 으로 수당으로 지급하거나 보상휴가로 전환할 수 있는 시간
관리자 모드 > 휴가 관리 > 보상휴가 관리에서 보상 휴가 관련된 내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가 직접 보상휴가 전환
보상휴가 자가 전환
사용자가 본인의 연장근무시간을 확인하여 직접 보상휴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관리자모드 > 휴가 관리 > 보상휴가 관리에서 보상휴가 자가 전환을 허용으로 설정하세요!
•
허용: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연장근무시간을 보상 휴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•
금지: 관리자만이 사용자들의 연장근무시간을 보상 휴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(예) 공휴일 근무
여기 공휴일인 삼일절에 6시간 근무를 한 김비즈씨가 있습니다. 휴일근무도 보상 휴가 대상이죠!
김비즈씨는 휴일근무 6시간을 보상 휴가로 전환하고자 합니다.
•
잔여시간 모두 : 잔여시간 전체를 보상휴가로 전환
•
직접 지정: 잔여시간 중 일부분만 보상휴가로 전환
보상휴가 전환 취소
보상휴가 전환을 취소하고 싶다면? 버튼만 누르면 손쉽게 가능합니다!
관리자가 보상휴가 전환
보상휴가 자가 전환을 금지로 설정하면 보상휴가로 전환할 수 있는 권한은 관리자만 갖게 됩니다.
•
허용: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연장근무시간을 보상 휴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•
금지: 관리자만이 사용자들의 연장근무시간을 보상 휴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
보상휴가 전환
관리자 모드 > 휴가 관리 > 보상휴가 관리로 이동하면 보상 휴가로 전환할 잔여 시간이 있는 사용자들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.
•
위쪽 보상휴가로 전환: 잔여시간이 있는 전체 사용자들의 시간을 일괄적으로 보상휴가 전환
•
아래쪽 보상휴가로 전환: 사용자 개별 선택 후 보상 휴가 전환
•
•
전환가능한 잔여시간 모두 : 잔여시간 전체를 보상휴가로 전환
•
직접 지정: 잔여시간 중 일부분만 보상휴가로 전환
보상휴가 전환 취소
보상휴가로 전환했던 사용자들의 잔여시간을 다시 되돌리고 싶다면? 보상휴가 취소를 클릭하세요!
수당으로 지급
잔여시간을 0시간으로 바꿔 전월에 대한 수당 지급을 확정하고 더이상 보상휴가 전환을 못하도록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즉, 해당 월에 대한 보상휴가 마감 처리를 할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^_^
수당 지급 방법
•
위쪽 수당으로 지급: 잔여시간이 있는 전체 사용자들의 시간을 수당으로 전환
•
아래쪽 수당으로 지급: 사용자 개별 선택 후 해당 사용자 잔여시간을 수당으로 전환
: “우리 회사는 연장근무가 월 5시간이 초과했을 때만 추가 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.”
이 경우, ‘제외할 추가 수당 총 시간’에 5시간을 입력해두면, 5시간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만 수당 혹은 보상 휴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죠!
(ex. 2월에 생성된 잔여 시간들을 3월에 수당으로 지급 → 2023-03으로 설정)
수당 지급 취소
수당으로 지급 처리하였던 시간을 취소하고 싶다면 취소 기능을 활용하세요! 수당으로 지급된 시간들은 모두 취소되고 잔여 시간으로 복구됩니다.
•
상단의 수당 취소 버튼: 수당 지급된 전체 사용자 수당 지급 취소
•
사용자 개별 관리 속 수당 취소: 해당 사용자의 수당 지급 취소
update: 2023.11.3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