캘린더에서 일/주/월 별 근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지만 기간을 정해 해당 기간 동안의 근무 현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 또, 일별 근무 현황을 비교하거나 수당 계산이 필요할 때, 비즈52 근무 현황 통계 기능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목차
이곳에는 다음 내용의 가이드가 있습니다! 제목을 누르시면 해당 부분으로 바로 이동합니다
통계 보기 조회 방법
캘린더 우측 상단의 파이그래프 아이콘이 통계 보기입니다. 클릭 시, 통계 보기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<부서원 통계 보기 화면: 본인의 근무 통계만 조회 가능>
<부서장 통계 보기 화면: 부서장을 맡고 있는 부서의 근무 통계 조회 기능>
부서장은 부서원 전체 혹은 일부 부서원을 선택하여 근무 통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부서원은 본인의 근무 통계만 조회할 수 있습니다.
통계 보기 사용 방법
기간 설정
원하는 기간을 선택해 근무 현황을 확인해 보세요. 달력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기간을 지정할 수 있도록 입력 칸이 나타납니다. 날짜를 선택하고 [검색] 버튼을 클릭하면 지정한 기간의 근무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오늘/1주/1개월/3개월 단위로도 검색할 수 있어요.
항목 필터 설정
통계 목록 우측 상단 필터를 활용하여 원하는 항목만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•
일별: 선택한 기간에 대한 근무 시간과 근태 현황을 일별로 보여줍니다.
•
일별을 설정했을 시, 직원들의 일별 출근시각, 퇴근시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•
주별: 선택한 기간에 대한 근무 시간과 근태 현황을 주별로 보여줍니다.
주별로 설정할 경우, 요일별 근무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•
월별: 선택한 기간에 대한 근무 시간과 근태 현황을 월별로 보여줍니다.
•
복사: 통계 보기로 확인한 근태 데이터들을 엑셀에 붙여 넣고 싶을 때 사용
통계 보기의 용어 설명
•
약속근무시간
: 사용자와 근무자가 합의하여 근무자가 일을 하기로 약속한 시간.
근무제 설정 시 근무시간을 일 8시간으로 설정했다면 8시간이 일 약속근무시간이므로 주/월별로 계산할 때는 휴무일 제외 근무일수 × 8시간(휴가 신청 시 소진되는 시간)으로 계산합니다.
•
실근무+휴가
: 실제로 근무한 시간 + 휴가.
근무제 설정 시 일 8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설정했다면 1일의 휴가 역시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•
실근무시간
: 휴가를 제외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근무한 시간.
소정 근무 시간과 연장 근무 시간, 기본 근무 시간과 시간 외 근무 시간을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.
•
소정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근무제에 의해 시스템에서 연장 근무로 판정되지 않은 근무시간.
표준근무제의 경우 일 8시간 이내, 선택근무제의 경우 주 40시간 이내의 근무를 소정근무시간으로 판정합니다.
•
연장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근무제에 의해 시스템에서 연장 근무로 판정된 근무시간.
연장 근무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1일 8시간, 1주 40시간, 또는 근로 계약이나 단체 협약에서 정하는 소정의 근무시간을 넘어서 근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근로기준법 상 1주 12시간을 한도로 연장 근무할 수 있습니다.
•
연장(가산수당)
: 연장 근무 시간 중 법정 가산 수당 지급 대상인 근무시간.
•
기본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근무제에 설정된 기본 근무 시간에 대한 근무시간.
근무제 설정에서 출근 시간이 9시, 퇴근 시간이 18시라면 기본근무시간은 그 사이의 8시간이 됩니다. 일반적으로 1일 기본근무시간은 8시간이지만 근무제에 따라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습니다.
•
시간외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근무제에 설정된 기본근무시간 이외의 시간에 시간외근무 신청을 통해 근무한 시간.
비즈52에서는 근무제에 설정된 기본근무시간 이외의 모든 시간에 근무를 하려면 사전에 시간외근무 신청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
•
야간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야간근무시간대인 22:00~06:00 사이에 근무한 시간.
야간근무시간대가 기본근무시간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, 시간외근무 신청서를 통해 근무하고 근무 시간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.
•
휴일근무시간
: 실근무시간 중 휴일(주휴일, 약정휴일)로 정해진 날에 근무한 시간.
휴일에 근무한 시간을 기록하려면 사전에 시간외근무를 신청한 후 근무해야 합니다. 휴일에 근무한 시간 중 8시간을 초과한 만큼의 시간이 연장(가산수당)에 포함됩니다.
•
이석(비업무)
: 비업무 유형으로 기록된 이석 시간.
•
외근/출장일수
: 외근/출장을 신청한 일수입니다.
근무제 설정 시 일 소정근무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했다면 1일의 외근/출장은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•
휴가일수
: 휴가를 신청한 일수입니다.
근무제 설정 시 일 소정근무시간을 8시간으로 설정했다면 1일의 휴가는 8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•
가산수당 총시간
: 법정가산수당 지급 대상인 근무시간의 합.
연장(가산 수당) + 야간 근무 시간 + 휴일 근무 시간으로 계산합니다.
•
추가수당 총시간
: (연장근무시간x100%)+(가산수당 대상 연장근무+야간근무+휴일근무)x50% 으로 수당으로 지급하거나 보상휴가로 전환할 수 있는 시간
유형별 통계 확인
통계보기 메뉴 속엔 근무시간, 지각/조퇴, 시간외근무, 이석, 외근/출장, 휴가 현황을 도표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(예) 통계보기 속 ‘이석 현황’ 메뉴 조회
•
도표 하단에 개인/부서별로 확인할 수 있는 요약 정보는 클립보드로 복사 가능합니다.
•
도표를 클릭하면 해당 데이트에 대한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update: 2023.11.29